2025년 10월 1일 오늘의 경제 뉴스 브리핑
2025년 10월 1일자 국내외 주요 경제 이슈와 글로벌 시장 동향을 정리했습니다. 한국과 세계 경제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보시고, 향후 투자와 비즈니스 전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 경제 동향
1. 제조업 불황과 신호탄
국내 제조업체 수가 1년 새 3만여 곳 줄어 6% 이상 감소했습니다. 석유화학, 철강 업종의 부진과 해외 공장 이전이 겹치며 일자리도 1만 명 이상 줄었습니다. 특히 60대 이상 CEO 비중이 40대를 넘어서는 등 기업 경영진의 고령화가 심화되는 모습입니다.
2. 글로벌 기업 수 감소
최근 10년간 글로벌 2000대 기업 중 한국 기업 수는 66개에서 62개로 줄었습니다. 반면 중국은 50% 이상, 미국은 6.5% 증가했습니다. 한국은 전통 제조업·금융업 중심으로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스타트업 성장이 규제로 가로막힌 점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3. 한국 성장률 정체
OECD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사실상 제로 성장에 가까운 수치로, 일본(0.7%→1.1%)과 세계 평균(2.9%→3.2%) 대비 낮은 수준입니다. 물가 상승과 경기 부진이 겹치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4. 블랙록, 한국에 대규모 AI 투자?
뉴욕에서 열린 회담에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한국 내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투자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이번 협력은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AI 허브로 키우려는 계획과 맞물려 있으며, 실제 투자 실행 여부가 주목됩니다.
🌍 글로벌 경제 이슈
1. 프랑스,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프랑스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했습니다. 캐나다, 호주, 영국 등도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며 국제정치의 흐름에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과 미국의 반발을 사고 있으며, 중동 정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2. 미국, 비자 장벽 강화와 인재 쟁탈전
미국의 H-1B 비자 수수료가 100배 인상되자 중국, 영국, UAE가 우수 인재 확보 경쟁에 뛰어들었습니다. 특히 영국은 세계 명문대 출신자를 대상으로 비자 수수료 면제를 검토 중입니다.
3. 헝가리, 러시아 석유 수입 지속
헝가리는 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 수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에너지 안보를 이유로 EU 제재 면제를 받고 있으며, 이는 유럽 내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트럼프, 북미 대화 가능성 시사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내달 APEC 회의 기간 판문점 회동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이는 북한과의 ‘비핵화 없는 대화’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됩니다.
5. 한국, 아르헨티나에 전폭 지원
한국은 아르헨티나의 금융 위기를 지원하기 위해 통화 스와프와 달러 매입을 적극 검토 중입니다. 이는 아르헨티나 증시 상승과 환율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오늘의 금융·시장 동향 (2025.09.23 기준)
- 국내 증시 : 코스피 3,486.19 (+0.51%), 코스닥 872.21 (-0.25%)
- 가상화폐 : 비트코인 1억 6,057만 원 (+0.04%)
- 미국 증시 : 다우지수 46,381.54 (+0.14%), 나스닥 22,788.98 (+0.70%), S&P500 6,693.75 (+0.44%)
- 금리 : 한국 기준금리 2.50%(동결), 미국 기준금리 4.25%(-0.25%)
- 금 시세 : 175,300원 (+2.22%)
- 환율 : 원/달러 1,395.10 (+0.22%), 원/유로 1,645.03 (+0.12%), 원/엔화 944.07 (+0.16%)
- 원유 : 텍사스유 WTI 63.13달러 (+1.36%)
✅ 정리
오늘의 경제 뉴스는 한국 제조업 침체와 글로벌 기업 경쟁력 약화, OECD의 낮은 성장률 전망 등이 눈에 띕니다. 하지만 동시에 블랙록의 AI 투자 협력 가능성과 아르헨티나 지원 등은 새로운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각국의 전략적 움직임이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